김영환 충북지사가 지역의 모 인사로부터 33억 원에 달하는 돈을 빌렸다는 주장이 제기 돼 충북 정가에 또 한번 후폭풍이 일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박성준 대변인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김 지사가 지역 폐기물처리시설 인허가를 신청한 업체의 실 소유주 A씨로 부터 33억 원의 돈을 빌렸다고 밝혔다. 김 지사의 돈 거래 행위는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법이 규정한 '직무관련자와의 거래'에 해당한다" 며, "수사 당국의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논평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11일 도청에서 기자들에게 "부동산거래 과정에서 빚어진 정상적인 채무 관계일뿐"이라며, "부동산을 빠른 시일 내에 처분해 채무를 정리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채권자가 무슨 사업을 하는지도 몰랐다"라며 직무 관련성 의혹에 대해서도 전면 부인했다. 한편 이런 김 지사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충북 시민단체와 민주당측에서는 강하게 수사를 요구 하고 있어 그 파장이 어디까지 확산 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국민의힘 김영환 충북지사가 오송 참사 흔적 지우기에만 급급한 모습이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충북도가 오송 참사 후속 대책을 담은 백서의 제목을 ‘7·15 교훈 백서’로 발표했다. 오송 참사를 가슴에 새기고 다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한다고 만든 책 제목에서 ‘오송’과 ‘참사’를 쏙 빼버렸다. 오송 참사를 다루는 책 제목에서 ‘오송 참사’을 뺀 이유는 무엇인가? 김영환 지사는 두 단어가 언급되는 것이 그리도 불편한 것인가? 두 글자만 빼면 사람들의 기억에서 오송 참사가 사라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인가? 두 글자를 뺀다고 김영환 지사의 책임이 사라지지 않는다. 참사 이후 일관되게 책임을 외면하고 회피하는 것도 부족해 국민의 기억 속에서 참사를 지우려고 애쓰는 김영환 지사의 몸부림이 참담하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발생한 지 벌써 100일이 지났다. 이태원 참사도 어느새 오는 29일 1주기를 맞는다. 오송 참사 이후 시간은 빠르게 흐르고 있지만 참사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는 수사기관은 아직도 이렇다 할 수사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고발된 국민의힘 소속 단체장인 김영환 충북지사와 이범석 청주시장, 그리고 이상래 행복청장에 대한 조사도 진척이
김영환 충북도지사의 탄핵이 추진된다. 충북민주시민연대 등 충북의 시민단체와 야당 등이 참여한 '김영환 충북도지사 주민소환 운동본부 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는 7일 충북도청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김 지사는 참사 당시 직무 유기와 부적절하고 무책임한 언행으로 일관하여 도정의 신뢰를 무너트렸다"고 비판했다. 준비위는 '기꺼이 친일파가 되겠다' 발언, 제천산불 술자리 파문, 오송참사 전후 대응,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을 근거로 주민소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자회견 후 주민소환 준비위는 충북선관위를 방문해 '주민소환투표청구서'를 제출했다. '지방자치법'에 따라 주민은 그 지방자치단체의 장 및 지방의회의원을 소환할 권리를 가진다. 주민소환제에 따라 주민 투표를 통해 지자체장을 해임할 수 있다. 선관위는 청구서 접수 7일 이내 투표청구인서명부를 교부해야 한다. 주민소환대표자는 교부 일자로부터 120일 동안 서명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주민소환투표는 충북 유권자의 10%의 서명을 받아야 실시할 수 있다. 지난달 충북 만 18세 이상 인구 수를 기준으로 하면 약 13만 7000명 이상이 서명에 참여해야 한다. 주민소환투표가 실시될 경우 유권자의 3분의 1이상이
김영환 지사의 적반하장이 점입가경이다. 국민의힘 김영환 충북지사가 본인의 괴산땅 인근 정비공사 발주 논란을 보도한 언론사를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하겠다고 도청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해당 언론사와 인터뷰한 충북도의원에 대해서는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겁박했다. 어느 부분이 가짜뉴스고 허위사실이란 말인가? 도청 도로관리사업소가 결재 절차도 무시하고 도지사 땅 인근 정비공사 입찰 공고를 올린 사실이 허위사실인가? 여러 정황상 김영환 지사의 무언의 압박이 있었을 수도 있다는 합리적 의심을 하는 것이 가짜뉴스인가? 도청 공무원들도 결재 절차 생략이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무엇이 그리 급해서, 무엇에 그리 쫓겨서 오송 지하차도 담당 부서가 실종자 수색 와중에 결재도 없는 공고를 올렸단 말인가? 김영환 지사의 무책임함과 뻔뻔함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충북도지사는 충북 재난 컨트롤타워다. 본인이 오송 지하차도 참사 책임자라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는 것인가? 정당한 문제 제기에 툭하면 법적대응 운운하며 재갈을 물리려 하는 것인가? 참사 이후 김영환 지사의 부실한 대처와 수상한 행적에 국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선출직이라는 이유만으로 면죄부를 받을 수는 없다. 이번 오송
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이 기자회견을 연다는 소식을 접하고 도착한 충북도청 주차장은 혼란스러웠다. 청원경찰들은 분주하게 움직이고 카메라를 들고 움직이는 기자들의 모습에서 급박함을 느낄 수 있었다. 주차장은 이미 만차여서 빈곳을 찾고 있는 기자의 차량 옆으로 커다란 검은색 SUV가 지나가더니 잠시 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내리는 모습이 보였다. ‘얼른 취재를 해야겠다’는 마음에 빠르게 움직여 도의회와 본관 사이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내렸는데 누군가 급히 걸어 가는게 보였다. 김영환 충북도지사였다. 나는 본능적으로 ‘아...이상민 장관을 만나러 가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어 가방에 카메라를 꺼내면서 뒤를 따라가기 시작했다. 나를 지나친 김 지사는 합동분향소가 설치된 건물 앞에 수행원으로 보이는 여성과 함께 서 있었다. 분향을 마치고 나오는 이 장관을 만나기 위해 기다리는 듯한 모습이었다. 그곳으로 다가가니 김 지사는 경계하는 눈빛으로 내게 물었다. “누구시죠?” 나는 “취재기자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랬더니 김 지사는 내 카메라를 보며 “찍지 마세요.&rdquo
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은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오송 지하차도 참사 다음날 김영환 지사 소유 인근 절개지의 정비사업 발주에 대한 비판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충북도가 김영환 지사 땅 주변 사업을 서둘러 설치한 이유는 무엇인지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 당일 가장 먼저 김 지사 본인 소유의 땅이 있는 괴산을 찾아 지시한 것은 아닌지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입찰공고를 올린 부서는 바로 오송 지하차도 관리 주체인 도로관리사업소인데 참사 바로 다음 날 실종자 수색을 해도 모자랄 상황에 김영환 지사 땅 인근의 정비공사 입찰공고를 올렸다는 것이다. 이런 김 지사의 행적을 보면 누구라도 도민의 생명보다 본인의 땅을 챙겼다는 합리적인 의심이 들수 밖에 없다 라며 정비 공사 발주와 관련한 의혹에 대해 한점 거짓 없이 직접 해명하라고 요구 했다. 성명서 전문 김영환 지사는 도민 생명보다 본인 땅이 우선인가? - 오송 지하차도 참사 다음날 김영환 지사 소유 인근 정비사업 발주 - - 김영환 지사는 정비공사 발주 관련 의혹에 대해 직접 해명하라 - 충북도청이 오송 지하차도 참사 다음날 국민의힘 김영환 지사와 가족이 소유한 괴산 땅 인접 지역의 정비사업 입찰공고를 올려 전 국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