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유성구청사단법인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이하 매니페스토본부)와 전남연구원이 공동주최한「제13회 2023 전국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가 지난 27일 국립순천대학교에서 최종 결과 발표를 끝으로 성황리에 종료되었다. 공모 분야는 적응력과 회복력의 리질리언스(Resilience) 우수사례로써, 일자리 및 고용개선 등 총 7개 분야로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 중 155곳에서 총 364개 사례를 공모하였으며, 1차 서류심사를 거쳐 선정된 172개 사례가 본 대회에서 경연을 펼쳤다. 일자리 및 고용개선 분야 최우수상은 ‘1+1=2”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사례를 발표한 충북 영동군이, 우수상은 '스마트팜, 농업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다' 사례를 발표한 충남 부여군이 선정되었다. 사회적·경제적 도시 불평등 개선을 점검했던 불평등 완화 분야에서는 우수상에 '민원처리, 7일도 느려you, 옥천군은 3일 만에 처리해you', '도와줘, OK(옥천)! 주민불편문자신문고 운영 ‘ 사례를 발표한 충북 옥천군이 선정됐다. 고령화 대비 및 저출생 대책, 독립 가구 지원 등의
청양군이 지난 27일 국립순천대학교에서 열린 ‘2023 전국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공동체 분야 ‘우수상’을 수상했다.28일 군에 따르면 이번 대회에는 전국 155개 기초자치단체가 364가지 사례를 출품했으며, 서류심사와 발표심사를 거쳐 7개 분야 우수사례를 선정했다. 군은 이번 대회에서 공동체강화 분야에 출전해 ‘주민이 주도하고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농촌형 주민자치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례를 발표했다. 군은 민선 7~8기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농촌형 주민자치와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전국 유일 통합형 지원 조직 ‘지역활성화재단’ 설립과 운영 ▲먹거리 종합계획(푸드플랜)과 마을공동체 융복합 ▲마을공동체 지원센터 운영 ▲주민자치회 100% 전환으로 풀뿌리 자치 활성화 ▲혁신 플랫픔 ‘와유’를 통한 주민 소통 활성화 ▲물품 공유센터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마을만들기와 먹거리 종합계획은 행정안전부와 전국 72개 지자체에서 견학을 다녀가는 등 선도사례로 꼽히고 있다. 군은 또 민선 8기 60개 공약사항을 순조롭
대전 유성구는 2023 전국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공동체 강화’ 분야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수상으로 유성구는 지난 2021년 ‘반부패 청렴 및 권익개선 분야’ 최우수상에 이어 2회 연속 최우수상 수상이라는 영예를 안았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주관으로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우수 공약사례를 발굴하고 확산하기 위해 추진된 이번 행사는 지난 26일부터 이틀간 국립순천대학교에서 개최됐다. 이번 대회에서 유성구가 수상한 사례는 공동체 강화 분야의 ‘수리수리 마수리~ 공동체가 그리는 마법의 기적, 유성매직!!’이다. ‘유성매직’은 유성구의 마을공동체 사업 브랜드로, ▲공동체 형성 및 성장지원 ▲공동체 네트워크 구축 지원 ▲커뮤니티 공간 활성화 ▲공론장 형성 등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담고 있다. 구는 2013년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시작하여 2018년에는 지원대상을 소규모 주민 모임과 비영리 단체로 확대하였으며, 현재까지 300여 개의 공동체들이 사업에 참여했다. 또한, 민선 8기에는 주민들이 쉽게 모
당진시가 26일부터 27일까지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주관으로 열린 ‘2023 전국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공동체 강화 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전국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공동체 강화, 기후환경 등 7개 분야에서 전국 기초단체장의 정책·공약 이행 우수사례를 평가하는 대회로 올해에는 전국에서 364개의 우수사례가 제출됐으며 이 중 172개가 본선에 올랐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당진시는 ‘공동체 강화 분야’에서 ‘돌봄 공백 해결! 마을공동체 의식 회복! 마을 공동체 중심 돌봄의 선도도시, 당진’이라는 주제로 본선에 올라 최우수상을 받는 성과를 달성했다. 당진시는 고대면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충남형 온종일(마을방과후)돌봄’사업(아동 돌봄)과 당진 3동의 마을공동체 중심의 ‘스스로 돌봄, 서로 돌봄’사업(노인돌봄)을 사례로 소개해 본선에 올랐으며 주민 주도로 추진된 지속성 있는 민·관·학 협력사업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